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
- 경우의 수 파이썬
- sktime 예제
- weight 일부 고정
- pandas row 제거
- sktime 튜토리얼
- pandas 행 제거
- layer 일부 freeze
- 판다스 조건
- Graph Theory
- 모델 freeze
- Does GNN Pretraining Help Molecular Representation?
- pytorch 데이터셋 나누기
- molecular representation
- 시계열 라이브러리
- EDA in python
- 선형함수 딥러닝
- Skip connection
- pytorch dataset split
- EDA 추천 파이썬
- pretraining
- pandas
- sktime tutorial
- 비선형함수
- 비선형함수 딥러닝
- pandas 조건
- sktime
- pandas 특정 조건 열 제거
- Prompt Tuning for Graph Neural Networks
- 일부 레이어 고정
- python 경우의 수
- Today
- Total
MoonNote
인공지능을 위한 선형대수(선형방정식과 선형시스템) 본문
edwith에서 들을 수 있는 인공지능을 위한 선형대수(주재걸 교수님) 강의를 들으면서 복습한 내용입니다.

- scalar: 숫자 하나
- vector: 순서가 정해져 있는 array(정해져 있지 않으면 set)
- matrix: 2차원의 array
- row vector: 가로 줄
- column vector: 세로 줄

- column vector는 n x 1으로 나타낼 수 있음
- row vector를 나타낼 때는 보통 column vector를 transpose한 형태로 나타냄


- inner product: 내적이라고 부름 vector -> scalar
- outer product: 외적이라고 부름. vector -> matrix

- matrix의 곱셈은 교환법칙이 성립하지 않음

- 분배법칙, 결합법칙 성립
- transpose시 순서가 바뀜


- linear equation을 vector로 나타낼 수 있다.





- Identity matrix는 대각선이 모두 1로 구성된 정사각행렬

- 역행렬은 모두 정사각행렬이다.


- 역행렬을 이용하여 solution을 구할 수 있다.

- 수명에 대한 weight, height, smoking의 coefficient를 구할 수 있다.

- A를 구할 수 있으면, unique한 solution을 얻을 수 있다.
- ad-bc가 0이라면 역행렬이 존재하지 않음
- ad-bc을 판별식이라고 함

- 3차원 이상의 matrix에 대한 판별식도 존재

- 3차원 이상의 matrix의 역행렬을 구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Gaussian elimination을 공부해볼 것

- 역행렬이 존재하지 않으면, 해가 없거나 무수히 많음
- a,b,c,d의 비율이 같을 때 역행렬이 존재하지 않음

- feature(미지수) 개수가 더 많을 때, 해가 무수히 많다. under-determined system -> regularization
- 방정식의 개수가 더 많을 때, 해가 존재하지 않는다. over-determined system -> least square
- 이런 경우들이라도 최적의 해를 구할 수 있는 기법들이 머신러닝, 딥러닝에서 많이 사용됨
- 머신러닝 문제는 방정식의 문제로 환원 가능.
- 방정식의 해를 systemic 하게 구하는, 역행렬이 존재할 때 (직사각형에도) 해를 얻는 방법은 Lay 책 참고
'Study > Math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행렬의 성질(덧셈과 곱셈) (0) | 2021.10.07 |
---|---|
벡터의 내적 (0) | 2021.10.0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