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
- pretraining
- sktime 예제
- pandas 특정 조건 열 제거
- pandas 행 제거
- 선형함수 딥러닝
- Prompt Tuning for Graph Neural Networks
- EDA in python
- 경우의 수 파이썬
- pandas
- 판다스 조건
- 비선형함수
- weight 일부 고정
- EDA 추천 파이썬
- Skip connection
- 모델 freeze
- Does GNN Pretraining Help Molecular Representation?
- pandas row 제거
- python 경우의 수
- sktime 튜토리얼
- 일부 레이어 고정
- sktime
- pytorch 데이터셋 나누기
- pytorch dataset split
- sktime tutorial
- Graph Theory
- 시계열 라이브러리
- layer 일부 freeze
- pandas 조건
- 비선형함수 딥러닝
- molecular representation
- Today
- Total
MoonNote
인공지능을 위한 선형대수(전사함수와 일대일함수) 본문
edwith에서 들을 수 있는 인공지능을 위한 선형대수(주재걸 교수님) 강의를 들으면서 복습한 내용입니다.

- ONTO: 공역 = 치역 (치역은 공역의 부분집합), 전사라고도 함
- 정의역의 개수가 공역보다 더 많을 때 ONTO일 가능성이 커짐
- 공역에 mapping되는 정의역의 원소가 최소 하나는 존재해야한다.
- 학습된 선형변환에 의해서 출력되는 결과가 치역, 640x480x3이 공역이 될 수 있음 (가능한 모든 픽셀 조합)
- 실제 데이터가 존재할 법한 구불구불한 평면(치역, sub 공간)을 manifold라고 부름

- 3차원에서 2차원으로 갈 때는 one-to-one이 될 수 없음
- 3차원 공간에 vector가 4개 주어져 있을 때 무조건 linearly dependent한 것을 알 수 있다.

- NN이 유의미한 feature를 추출할 수 있음

- 과체중을 만들어 내는 사람이 여러 명 있더라도 1개의 값으로 mapping이 된다. 세세한 차이들이 다 존재하는 경우로 입력을 구성하더라도 수명을 예측하기 위해서 유용한 정보만 남기고 의도적으로 입력값에서의 자잘한 차이를 없애준다.
- 정보를 손실하는 과정이라고도 볼 수 있음
- 의도적으로 불필요한 정보를 0으로 만들어준다고 생각하면 됨

- 입력 vector를 다양하게 구성하더라도 출력 vector의 공역을 다 cover할 수 있나?
- 항상 onto(전사) 하느냐? 모름
- 다양한 조합 중 학습한 mapping은 2차원의 모든 부분에 mapping이 되도록 학습하는 것이아니라 일부분으로 mapping 되도록 학습될 수 있음
- 필요한 부분으로의 mapping을 배우는 것이지 전사의 mapping을 학습하는 것이 아님

- T 함수가 one-to-one이라는 뜻은 A의 column vector들이 linearly independent 하다는 의미
'Study > Machine Learn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log_loss 에러 해결(RuntimeWarning: divide by zero encountered in log) (0) | 2022.01.02 |
---|---|
인공지능을 위한 선형대수(Least Squares Problem 소개) (0) | 2021.12.16 |
인공지능을 위한 선형대수(선형변환 with Neural Networks) (0) | 2021.12.13 |
인공지능을 위한 선형대수(선형변환) (0) | 2021.12.10 |
인공지능을 위한 선형대수(부분 공간의 기저와 차원) (0) | 2021.12.08 |